[대명사] 전치사+관계대명사
본문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consists of their images. 이 문장에서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가 주어 this material을 선행사로 삼는 것으로 보입니다. 딕스터디님의 전치사+관계대명사와 관련된 자료를 다 읽어 보았는데, 전치사+관계대명사는 뒤에 완전한 절을 갖고 온다고 하셔서 위 문장을 살펴 보았는데 문법상으론 그럴듯해 보이지만 ‘무엇’으로 구성된 재료라고 해석해야 할 것 같은데, 그 무엇이 문장에 나와있지 않아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해석 자체가 어렵습니다,, 그의 최종 작업으로 구성된 재료로 해석하는 게 저의 최선인데, (모고 지문이라) 해설지에는 ‘그의 최종 작업이 만들어지는 이 자료는’로 해석하고 있어 저의 해석과 결이 많이 달라서 애먹고 있어요,, 해설지를 무조건 적으로 의존하지 말아야 하지만, 어느정도 맥락이 맞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앞에 쓰인 from을 원래 동사 뒤로 보내려면 어디로 보내야 할지 위치를 찾지 못하겠어요. composed 뒤로 보내자하면, 목적어가 필요해 보입니다. ~으로 구성된(혹은 ~로부터 만들어진) 둘다 목적어가 필요해 이또한 해석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같이 질문 드립니다!
모고 지문이라 간략하게 작성했는데 원래 문장도 혹시 몰라 같이 작성합니다!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consists not of living men or real landscapes, not of real, actual stage-sets, but only of their imges, recorded on seperate strips that can be shortened, alter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his will.
또한 앞에 쓰인 from을 원래 동사 뒤로 보내려면 어디로 보내야 할지 위치를 찾지 못하겠어요. composed 뒤로 보내자하면, 목적어가 필요해 보입니다. ~으로 구성된(혹은 ~로부터 만들어진) 둘다 목적어가 필요해 이또한 해석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같이 질문 드립니다!
모고 지문이라 간략하게 작성했는데 원래 문장도 혹시 몰라 같이 작성합니다!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consists not of living men or real landscapes, not of real, actual stage-sets, but only of their imges, recorded on seperate strips that can be shortened, alter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his will.
추천한 회원


2025-01-16 15:27
86
1
2
Dicstudy님의 답변
이러한 부분은 '따로 떼어보기'를 해보면 편해용.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consists of their images. 부분을 분리해보면,
(A) This material consists of their images.
= 이 자료(재료)는 그들의 이미지들로 구성된다.
(B) His final work is composed from this material.
= 그의 최종 작품은 이 자료(재료)로 구성된다.
이렇게 두 문장으로 분리할 수 있어요.
여기서 두 가지 알 수 있는 점이 있습니다.
(1) This material을 꾸며주던 문장은 "3형식 수동태"인 것을 알 수 있죠.
(2) '그의 최종 작품' 속 구성 내용이 'this material'이라는 것.
그래서 '저 this material이 뭘까?' 하는 생각에 좀 서칭을 해보니,
전체 지문을 찾게 되었고, 앞 문장 속 the finished, recorded celluloid[마지막 기록된 영화필름]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자, 그럼 this material이 의미하는 것이 뭔지 알았으니, 문법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A) 문장 속 This material을 꾸며주기 위해 (B) 문장을 이용했고,
여기서 똑같이 사용되는 this material을 발견.
(1) 그래서 [ 문장과 문장을 연결(접속사 역할) + this material을 대신(대명사 역할) ]을 하는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합니다.
(A) This material consists of their images.
(B) His final work is composed from which.
(2) 관계대명사가 문장을 끌고 가는 형태로, 꾸며줄 This material 뒤에 붙입니다.
┌ +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from
(A) This material consists of their images.
(3) 그렇게 This material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from consists of their images.가 완성.
하지만, "전치사"는 '명사와 붙어 있으려는 성질'이 있어요.
여기서 글쓴이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 [ from ]을 그냥 놔둘지, [ from ]와 짝이었던 this material을 대신한 [ which ] 옆으로 갈 지 > 말이죠.
사실, 저 위의 문장처럼 그냥 둬도 되지만, 글쓴이는 from을 which 옆으로 옮깁니다.
그렇게 질문하신 문장 속,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consists of their images. 라는
'완전한 문장'을 끌고 온 "전치사+관계대명사" 형태가 된 것입니다. :)
다른 예시를 보시면 좀 더 이해하시기 좋을 것 같아, 정리해봤습니다.
▶예시
(1) The room ( in which they study ) is very quiet.
= ( 그들이 공부하는 ) 방은 매우 조용하다.
The book ( from which she learned so much ) is now out of print.
= ( 그녀가 많은 것을 배운 ) 책은 이제 절판되었다.
Dicstudy님의 답변의 답변
This material from which his final work is composed consists of their images.
그의 최종 작품을 구성하는 이 자료는 그들의 이미지들로 구성된다.
라고 할 수 있어요. 문법적 형태는 '구성되다', '수동태'로 문장이 이루어져 있지만,
해석할 때는 문맥 속 '관계'를 따져주면서, '구성하는'이라고 볼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