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를 사역동사로 보고, 빈 칸에 동사원형 오면 안되나요?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기타] make를 사역동사로 보고, 빈 칸에 동사원형 오면 안되나요?

본문

Located in the center of Toronto, the Royal Ontario Museum makes the history of Ontario ______ to every resident and visitor.

access와 accessible 중, 정답이 accessible인데,

make를 사역동사로 보고, 동사원형 access는 안되나요?

1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추천한 회원
Dicstudy
profile_image
2024-12-27 14:18 56 1

2

Dicstudy님의 답변

profile_image
2024-12-27 15:03
안녕하세요~ make와 관련된 질문이군요!
문법적으로는 가능한데,

문맥상 어색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문장을 해석해보면,
Located in the center of Toronto, the Royal Ontario Museum makes the history of Ontario ______ to every resident and visitor.
= 토론토 중심에 위치한 Royal Ontario 박물관은 Ontario의 모든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역사를 __________

[ 하게 하다 / 만들다 ].
라고 볼 수 있죠.

그럼 여기서, 두 단어 access / accessible을 하나씩 넣어보면,


(1) access
Located in the center of Toronto, the Royal Ontario Museum makes the history of Ontario access to every resident and visitor.
= 토론토 중심에 위치한 Royal Ontario 박물관은 Ontario의 모든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역사가 접근하게 한다.
→ [ Ontario의 역사가 주민들과 방문객에게 '접근하게' 만들다. ]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요.

보통은 주민들과 방문객들이 '접근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2) accessible
Located in the center of Toronto, the Royal Ontario Museum makes the history of Ontario accessible to every resident and visitor.
= 토론토 중심에 위치한 Royal Ontario 박물관은 Ontario의 모든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역사를 접근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라고 해석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박물관에서 'Ontario의 역사'에 대해 전시해두면, 방문객들과 주민들이 그곳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니까요.

문법만 놓고 본다면, 둘 다 가능할 것 같은데, 문맥과 함께 보니 accessible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좀 더 이해하실 수 있도록 예문 두 개 정리해봤습니다.

▶예문
(1) The new app makes high-quality education accessible to everyone around the world.
= 이 새로운 앱은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고품질의 교육이 접근 가능하게 만든다.

(2) The organization strives to make clean drinking water accessible to communities in need.
= 그 단체는 도움이 필요한 지역사회들에게 깨끗한 식수를 접근 가능하게 만들려고 노력한다.

위 두 문장들은 access가 문법적으로 들어갈 수는 있지만,
문맥적으로 어색한 느낌이라는 걸 보여드리려고 준비했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솜사탕님의 답변의 답변

profile_image
2024-12-27 19:49
사역동사로 보면 해석이 이상해지는군요? ㅠㅠ 감사합니다!
게시판 전체검색